|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AI
- robotics
- 네트워크 충돌
- 명령어
- 기구학
- ROS2
- Java
- 알고리즘
- homogenous
- Computer
- sort
- 정보처리기사
- 컴퓨터구조
- humble
- MIPS
- 자격증
- 맥케이브
- homogeinous
- 정처기
- 회전 복잡도
- 정렬
- Coding
- 리눅스
- sam2
- 3dof
- CentOS
- Linux
- 합병
- segmentation
- SQ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4)
UTF-404
💡 프로세스란? ➡️ 컴퓨터의 CPU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CPU가 처리하기 위해, RAM위에 올려져 있는 상태의 실행 중인 프로그램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1%9C%EC%84%B8%EC%8A%A4 프로세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op을 통해 보이는 프로세스들의 목록. 프로세스(process)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종종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 ko.wikipedia.org CPU : 데이터를 연산(계산) RAM :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올려두는 공간( 실행중인 프로그램은 여기에) HDD :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보관..
💡 signal 신호 SIGHUP ➡️ HUP 로그아웃 (nohup : 로그아웃 해도 프로그램 실행됨) SIGINT ➡️ ctrl+c 동작취소 SIGKILL ➡️ kill 강제종료 SIGTERM ➡️ 응용 프로그램 내부 종료 (기본값) ctrl+d 명령시점부터 동작 종료 SIGTSTOP ➡️ ctrl+z 동작 정지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1886812/what-is-the-difference-between-sigstop-and-sigtstp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IGSTOP and SIGTSTP? Just wondering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SIGSTOP and SIGTSTP signals. ..
💡 선형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선형 구조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리스트, 스택, 큐, 데크가 있다. 📍리스트(List) 종류 설명 선형 리스트 (Linear List) • 배열과 같이 연속되는 기억 장소에 저장되는 리스트 • 선형 리스트의 대표적인 구조로는 배열 (Array) 등이 있음 • 가장 간편한 자료 구조이며, 접근 구조가 빠름 • 자료의 삽입, 삭제 시 기존 자료의 이동이 필요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 노드의 포인터 부분으로 서로 연결시킨 리스트 •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단술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이중원형 연결 리스트로 구분 • 노드의 삽입, 삭제가 선형 리스트와 달리 편리 • 연결을 위한 포인터가 추가되어..
💡 자료 구조란 ?? 자료 구조는 컴퓨터상 자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논리적인 구조이다. 자료 구조의 현명한 선택을 통해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 자료 구조의 분류 ➡️ 자료 구조의 분류는 크게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로 나뉜다. 구조 설명 종류 선형 구조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자료 구조 리스트, 스택, 큐, 데크 비선형 구조 데이터를 비연속적으로 연결한 자료 구조 트리, 크래프
💡 데이터 명세화란? ➡️ 데이터 명세화는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과정에서 식별한 연계 정보 그룹에 해당하는 테이블 정의서, 파일 레이아웃, 코드 정의서 등을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 명세를 만드는 작업이다. 📍 데이터 명세화 문서 문서 설명 개체(Entity) 정의서 ∙ 데이터 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 테이블(Table)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Index), 업무 규칙을 정의한 문서 코드(Code) 정의서 ∙ 코드에 대한 명명 규칙을 정하고, 명명 규칙에 따라 어떠한 코드를 사용할지를 정의한 문서 ∙ 코드는 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일하게 ..
💡 마운트에 대해 알아보자!! 리눅스의 디스크 및 파티션은 디렉토리에 연결된다. mount [장치] [디렉토리 : mount point, 탑재지점] [root@localhost ~]# mount /dev/sr0 /cdrom 📍 umount [장치 혹은 디렉토리] [root@localhost ~]# umount /cdrom [root@localhost ~]# umount /dev/sr0 📍 mount -t [파일시스템] [파티션 장치 파일] [mount point] 📍 마운트 조건 3가지 1. 파티션 설정 (구역 설정) ➡️ fdisk 2. 파일 시스템(포멧) ➡️ mkfs 3. 디렉토리(마운트 포인트) ➡️ mkdir cdrom의 경우에는 파티션과 포맷이 이미 지정되어 있으므로 디렉토리(마운트 포인트만 ..
💡 리눅스 권한 SSS 알아보기~!! 📍 SetUID S 나 s로 표현되고 8진수 모드로는 4000으로 표현됨 = chmod 4750 /test 사용자가 SetUID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실행파일을 실행할 경우 그 소유자 권한을 가지게 된다. -rwsr-xr-x 1 root root 0 yyyy-mm-dd hh:mm:ss file01.sh permission UID GID < Ownership : 항상 소유권이 허가권보다 우선!!!!! ➡️ test로 로그인 시 root의 권한으로 rws (7) = 모든 권한이라는 허가권으로 실행된다. 📍SetGID S 나 s로 표현되고 8진수 모드로는 2000으로 표현됨 = chmod 2750 /test SetUID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며 다만 그룹의 권한으로 실행된다..
💡 내 ・ 외부 송 ・ 수신 이란? ➡️ 내∙외부 송∙수신을 위해서 연계 방식과 연계 기술, 통신 유형의 선택은 성능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내∙외부 송∙수신 연계 방식 내∙외부 송∙수신의 연계 방식은 직접 연계 방식과 간접 연계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계 방식 설명 직접 연계 방식 ∙ 중계 서버나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고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이 직접 인터페이스 하는 방식 간접 연계 방식 ∙ 연계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송수신 엔진과 어댑터를 활용하여 인터페이스 하는 방식 ∙ 송∙수신 처리 및 현황을 모니터 링하고 통제하는 연계 서버를 활용하는 방식 📍 내∙외부 송∙수신 연계 방식 장단점 연계 방식 장점 단점 직접 연계 방식 ∙ 중간 매개체가 없이 연계 처리속도가 빠르고 구현이 단순 ∙ ..
💡 시스템(System) 이란? ➡️ 시스템은 하나의 공통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화된 요소들의 집합체이다. 📍 시스템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입력(Input) 처리 방법, 처리할 데이터, 조건을 시스템에 투입하는 행위 출력(Output) 처리된 결과를 시스템에서 산출하는 행위 처리(Process)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 방법과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행위 제어(Control) 자료를 입력하고 출력될 때까지의 처리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된는지를 감독하는 행위 피드백(Feedback) 출력 결과가 목표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달성을 위해 반복 개선하는 행위 💡 시스템 아키텍처(System Architecture) 이란? 시스템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구조, 행위,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시스템..
💡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을 정리한 패턴이다.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개발할 경우 개발의 효율성과 유지보수성, 운용성 등의 품질이 높아지며, 프로그램의 최적화에 도움이 된다. https://refactoring.guru/ko/design-patterns 디자인 패턴들 refactoring.guru 📍 디자인 패턴 구성요소 ➡️ 디자인 패턴에는 패턴의 이름, 문제 및 배경, 솔루션, 사례, 결과, 샘플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요소 설명 패턴의 이름 디자인 패턴을 부를 때 사용하는 이름과 디자인 패턴의 유형 문제 및 배경 디자인 패턴이 사용되는 분야 또는 배경, 해결하는 문제를 의미 솔루션 디자인 패턴을 이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