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맥케이브
- 합병
- 정보처리기사
- segmentation
- 자격증
- 알고리즘
- humble
- 정처기
- ROS2
- homogeinous
- CentOS
- MIPS
- 명령어
- AI
- Java
- 컴퓨터구조
- SQL
- Linux
- 회전 복잡도
- robotics
- 기구학
- sam2
- 정렬
- Coding
- homogenous
- 리눅스
- Computer
- sort
- 네트워크 충돌
- 3dof
Archives
- Today
- Total
UTF-404
디자인 패턴 알아보기!! 본문
728x90
💡 디자인 패턴
-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을 정리한 패턴이다.
-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개발할 경우 개발의 효율성과 유지보수성, 운용성 등의 품질이 높아지며, 프로그램의 최적화에 도움이 된다.
<참고 자료>
https://refactoring.guru/ko/design-patterns
디자인 패턴들
refactoring.guru
📍 디자인 패턴 구성요소
➡️ 디자인 패턴에는 패턴의 이름, 문제 및 배경, 솔루션, 사례, 결과, 샘플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요소 | 설명 |
패턴의 이름 | 디자인 패턴을 부를 때 사용하는 이름과 디자인 패턴의 유형 |
문제 및 배경 | 디자인 패턴이 사용되는 분야 또는 배경, 해결하는 문제를 의미 |
솔루션 | 디자인 패턴을 이루는 요소들, 관계, 협동 과정 |
사례 | 디자인 패턴의 간단한 적용 사레 |
결과 |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면 얻게 되는 이점이나 영향 |
샘플 코드 |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원시 코드 |
📍 디자인 패턴 유형
유형 | 설명 |
생성(Creational) 패턴 |
객체 인스턴스 생성에 관여, 클래스 정의와 객체 생성 방식을 구조화, 캡슐화를 수행하는 패턴 |
구조(Structural) 패턴 |
더 큰 구조 형성 목적으로 클래스나 객체의 조합을 다루는 패턴 |
행위(Behavioral) 패턴 |
클래스나 객체들이 상호 작용하는 방법과 역할 분담을 다루는 패턴 |
📍 디자인 패턴 종류
📌 생성 패턴
패턴 | 설명 |
Builder | ∙ 복잡한 인스턴스를 조립하여 만드는 구조로, 복합 객체를 생성할 때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과정)과 객체를 구현(표현)하는 방법을 분리함으로써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만들 수 있는 디자인 패턴 ∙ 생성과 표기를 분리해서 복잡한 객체를 생성 |
Prototype | ∙ 처음부터 일반적인 원형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복사한 후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여 생성하는 패턴으로, 생성할 객체의 원형을 제공하는 인스턴스에서 생성한 객체들의 타입이 결정되도록 설정하여 객체를 생성할 때 갖추어야 할 기본 형태가 있을 때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 기존 객체를 복제함으로써 객체를 생성 |
Factory Method |
∙ 상위 클래스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하위 클래스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위 클래스에서는 인스턴스를 만드는 방법만 결정하고, 하위 클래스에서 . 그데이터의 생성을 책임지고 조작하는 함수들을 오버라이딩하여 인터페이스와 실제 객체를 생성하는 클래스를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디자인 패턴 ∙ 생성할 객체의 클래스를 국한하지 않고 객체를 생성 |
Abstract Factory |
∙ 구체적인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 서로 연관되거나 의존적인 객체들의 조합을 만드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패턴으로 이 패턴을 통해 생성된 클래스에서는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하고, 구체적인 구현은 Concrete Product 클래스에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 디자인 패턴 ∙ 동일한 주제의 다른 팩토리를 묶음 |
Singleton | ∙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하며, 생성된 객체를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 ∙ 한 클래스에 한 객체만 존재하도록 제한 |
📌 구조 패턴
패턴 | 설명 |
Bridge | ∙ 기능의 클래스 계층과 구현의 클래스 계층을 연결하고, 구현부에서 추상 계층을 분리하여 추상화된 부분과 실제 구현 부분을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 ∙ 구현뿐만 아니라, 추상화된 부분까지 변경해야 하는 경우 활용 |
Decorator | ∙ 기존에 구현되어 있는 클래스에 필요한 기능을 추가해 나가는 설계 패턴으로 기능 확장이 필요할 때 객체 간의 결합을 통해 기능을 동적으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게 해주어 상속의 대안으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 객체의 결합을 통해 기능을 동적으로 유연하게 확장 |
Facade | ∙ 복잡한 시스템에 대하여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시스템 간 또는 여타 시스템과의 결합도를 낮추어 시스템 구조에 대한 파악을 쉽게 하는 패턴으로 오류에 대해서 단위별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측면에서 단순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통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패턴 ∙ 통합된 인터페이스 제공 |
Flyweight | ∙ 다수의 객체로 생성될 경우 모두가 갖는 본질적인 요소를 클래스 화하여 공유함으로써 메모리를 절약하고, '클래스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 패턴 ∙ 여러 개의 '가상 인스턴스'를 제공하여 메모리 절감 |
Proxy | ∙ '실체 객체에 대한 대리 객체'로 실체 객체에 대한 접근 이전에 필요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만들며, 이 점을 이용해서 미리 할당하지 않아도 상관없는 것들을 실제 이용할 때 할당하게 하여 메모리 용량을 아낄 수 있으며, 실체 객체를 드러나지 않게 하여 정보 은닉의 역할도 수행하는 디자인 패턴 ∙ 특정 객체로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
Composite | ∙ 객체들의 관계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을 표현하는 패턴으로, 사용자가 단일 객체와 복합 객체 모두 동일하게 다루도록 하는 패턴 ∙ 복합 객체와 단일 객체를 동일하게 취급 |
Adapter | ∙ 기존에 생성된 클래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맞춰주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패턴으로, 상속을 이용하는 클래스 패턴과 위임을 이용하는 인스턴스 패턴의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 인터페이스가 호환되지 않는 클래스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타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기존 인터페이스에 덧씌움 |
📌 행위 패턴
패턴 | 설명 |
Mediator | ∙ 객체 지향 설계에서 객체의 수가 너무 많아지면 서로 간 통신을 위해 복잡해져서 객체 지향에서 가장 중요한 느슨한 결합의 특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중간에 이를 통제하고 지시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중재자를 두고, 중재자에게 모든 것을 요구하여 통신의 빈도수를 줄여 객체 지향의 목표를 달성하게 해주는 디자인 패턴 ∙ 상호 작용의 유연한 변경을 지원 |
Interpreter | ∙ 언어의 다양한 해석, 구체적으로 구문을 나누고 그 분리된 구문의 해석을 맡는 클래스를 각각 작성하여 여러 형태의 언어 구문을 해석할 수 있게 만드는 디자인 패턴 ∙ 문법 자체를 캡슐화하여 사용 |
Iterator | ∙ 컬렉션 구현 방법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집합체 안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에 반복자(Iterator)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 ∙ 내부구조를 노출하지 않고, 복잡 객체의 원소를 순차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해주고는 행위 패턴 |
Template Method |
∙ 어떤 작업을 처리하는 일부분을 서브 클래스로 캡슐화해 전체 일을 수행하는 구조는 바꾸지 않으면서 특정 단계에서 수행하는 내역을 바꾸는 패턴 ∙ 일반적으로 상위 클래스(추상 클래스) 에는 추상 메서드를 통해 기능의 골격을 제공하고, 하위 클래스(구체 클래스)의 메서드에는 세부 처리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며 코드 양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드는 특징을 갖는 디자인 패턴 ∙ 상위 작업의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서 서브 클래스로 작업의 일부분을 수행 |
Observer | ∙ 한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그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에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방법으로 일대 다의 의존성을 가지며 상호 작용하는 객체 사이에서는 가능하면 느슨하게 결합하는 디자인 패턴 ∙객체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다른 객체의 상태도 연동, 일대다 의존 |
State | ∙ 객체 상태를 캡슐화하여 클래스화함으로써 그것을 참조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태에 따라 다르게 처리할 . 수있도록 행위 내용을 변경하여, 변경시 원시 코드의 수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편의성도 갖는 디자인 패턴 ∙ 객체의 상태에 따라 행위 내용을 변경 |
Visitor | ∙ 각 클래스 데이터 구조로부터 처리 기능을 분리하여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어 놓고 해당 클래스의 메서드가 각 클래스를 돌아다니며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패턴으로, 객체의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기능만 따로 추가하거나 확장할 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 특정 구조를 이루는 복합 객체의 원소 특성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행위 |
Command | ∙ 실행될 기능을 캡슐화함으로써 주어진 여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재사용성이 높은 클래스를 설계하는 패턴으로 하나의 추상 클래스에 메서드를 만들어 각 명령이 들어오면 그에 맞는 서브 클래스가 선택되어 실행되는 특징을 갖는 디자인 패턴 ∙ 요구사항을 객체로 캡슐화 |
Strategy | ∙ 알고리즘 군을 정의하고(추상 클래스) 같은 알고리즘을 각각 하나의 클래스로 캡슐화한 다음, 필요할 때 서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패턴으로, 행위를 클래스로 캡슐화해 동적으로 행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해주는 디자인 패턴 ∙ 행위 객체를 클래스로 캡슐화해 동적으로 행위를 자유롭게 변환 |
Memento | ∙ 클래스 설계 관점에서 객체의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 적용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Undo 기능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 객체를 이전 상태로 복구시켜야 하는 경우, '작업취소(Undo)' 요청 가능 |
Chain of Responsibility |
∙ 정적으로 어떤 기능에 대한 처리의 연결이 하드코딩 되어 있을 대 기능 처리의 연결 변경이 불가능한데, 이를 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연결한 디자인 패턴 ∙ 한 요청을 2개 이상의 객체에서 처리 |
⭐️ 디자인 패턴의 장단점
장점 | ∙ 요구사항 변경에 따른 소스 코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줌 ∙ 소프트웨어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 설계 변경 요청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 ∙ 범용적인 코딩 스타일 적용 가능 ∙ 개발자 간의 원할한 의사소통 가능 ∙ 재사용을 통한 개발 시간 단축 가능 ∙ 소프트웨어 구조 파악이 용이 ∙ 객체 지향 설계 및 구현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적합 ∙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단점 | ∙ 객체 지향 설계 / 구현 위주로 사용 ∙ 초기 투자 비용의 부담 |
728x90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외부 송・수신에 대해 알아보기!! 🛜 (0) | 2024.01.29 |
---|---|
시스템 아키텍처와 인터페이스 시스템 (0) | 2024.01.29 |
객체 지향 설계 (2) | 2024.01.26 |
모듈화(2) (0) | 2024.01.25 |
모듈화(1)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