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처기
- 3dof
- segmentation
- robotics
- Computer
- homogeinous
- humble
- Java
- Linux
- 맥케이브
- AI
- MIPS
- 컴퓨터구조
- 네트워크 충돌
- sam2
- 알고리즘
- 회전 복잡도
- Coding
- 합병
- sort
- 리눅스
- CentOS
- 정렬
- 기구학
- SQL
- 정보처리기사
- ROS2
- 소스 코드 품질 분석
- 명령어
- homogenous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 (27)
UTF-404
💡 VNC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는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이다. 자판과 마우스 이벤트를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송시켜서 네트워크를 거쳐 그래픽 화면을 갱신하는 방식을 제공한다.https://ko.wikipedia.org/wiki/VNC VN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ko.wikipedia.org 📍 원격 서비스🔎 TUITelnet 일반 통신 (23 / TCP)SSH 보안 통신 (22 / TCP)🔎 GUIRemote DeskTop 그래픽 환경 (3389 / TCP)window 전용VNC 그래픽 환경 (5900 / T..
💡 Telnet 암호화되지 않은 원격 접속 서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간자(= 해커)에게 데이터가 쉽게 노출된다. Telnet을 만약에 사용한다면 공용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 그렇기에 대부분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한다. 📍 Telnet Port 번호 접속 방식은 TCP를 사용하며 기본 포트 번호는 TCP/23번을 사용한다. 📍 CentOS에서 Telnet은 Standalone으로 돌릴 수 없다. 슈퍼 데몬인 Sinet의 관리를 받아야만 사용 가능하다. 📍 VPN(Virtual Private Network)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설 네트워크로 접속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며, 이를 사용하면 특정 방식의 인증을 거쳐서 사설 네트워크로 진입할 수 있다. 💡 Xinet 구축 순서 알아보기!..
💡 Server 란? Service를 제공하는 자, 서비스는 특정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예로는 게임, 웹, DB, 메신저, 메일 등이 있다. 💡 Client 란? Service를 이용하는 자를 의미한다. 📍 Server를 구축하기 위한 OS는 무엇이 있을까? 1. Window Server - 2002, 2008, 2012, 2016 등 2. Unix/Linux - CentOS, RedHat, Ubuntu 등 📍 Client로 자주 사용되는 OS는 무엇이 있을까? 1. Windows - xp, 7, 8, 10, 11 등 2. Mac 💡 보안 정책 및 방화벽 CentOS의 보안 정책은 SELinux를 사용하고 있다. 외부 혹은 내부의 통신을 허용/차단을 위해 방화벽(firewall)을 상용한다. 📍 방화벽 ..
💡 포트(port) : OSI 7 계층 중 4 계층에 해당하는 정보 주소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지 구분하기 위한 번호로 사용된다. TCP라는 방식과 UDP라는 방식이 있다. 각각 2^16(= 65536)개로 총 13만 개 정도가 있다. 📍 포트 번호 범위 0 ~ 1023 :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1024 ~ 49151 :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49152 ~ 65535 : 동적 포트(dynamic port) ※ 동적 포트는 주로 요청이나 접속을 시도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한다. 📍자주 명시 혹은 출제되는 포트 및 서비스 🔎 TCP 20, 21 :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22 : SSH, 암호화된 원격 통신 23 : telnet, 평문 원격 통신 25 : ST..
💡 Clone 생성할 경우 네트워크 충돌 오류 해결방법 VMware Guest를 복제하면 그대로 복제가 되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충돌이 발생(MAC/IP 주소 겹침) 이때,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이 파일을 수정해도 IP 변경이 안된다. 📍 네트워크 충돌 시 작성되는 파일 ➡️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1 # This file was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lib/udev/write_net_rules 2 # program, run by the persistent-net-generator.rules rules file. 3 # 4 # You can modify i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위의 파일을 vi로 열어서 편집한다. 📍수동 설정 전 파일 1 DEVICE=eth0 // 장치명 2 HWADDR=00:0C:29:22:F0:87 // 2 계층 MAC 주소 3 TYPE=Ethernet // 네트워크 타입 4 UUID=ddbb799c-ddac-4401-848f-27f2b25000e6 // 장비 고유 ID 5 ONBOOT=no // 부팅 시 네트워크 활성 여부 6 NM_CONTROLLED=yes 7 BOOTPROTO=dhcp // 프로토콜 종류 (DHCP : 자동 IP) 📍 수동 설정 후 파일 1 DEVICE=eth0 2 HWADDR=00:0C:29:22:F0:87 3 TYPE=Et..
리눅스를 서버로 구동하려면 서비스 프로그램을 설치/실행해야 한다. 서비스를 프로그램은 데몬 프로세스의 형태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는 보통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포트를 관리한다.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포트를 통해 특정 프로세스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의 허용이 있어야 한다. 📍 netstat : 현재 컴퓨터의 포트, 네트워크 상태, 관련 프로세스를 출력 -l : listen 인 것만 내역을 출력 -n : 포트 번호까지 출력 -t : tcp 통신 내역을 출력 -u : udp 통신 내역을 출력 -p : process ID 출력 -a : all, 모든 상태 출력 📍 ifconfig :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
💡 rpm 복습해보기!! 📍 -i : 설치, -ivh 옵션으로 주로 이용한다. rpm -i vsftpd-2.2.2-21.e16.x86_64.rpm : 해당 rpm 파일을 시스템에 설치한다. rpm -ivh vsftpd-2.2.2-21.e16.x86_64.rpm : 설치 정보 및 진행률을 hash(#)으로 표시한다. 📍 -e : 제거 rpm -e vsftpd : 시스템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q : 질문,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나 패키지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 rpm -qa vsftpd : vsftpd 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rpm -qa | grep vsftpd : 설치되어 있는 vsftpd 관련 패키지를 모두 출력한다. rpm -qa : 설치되어 있는 모든 패키지를 출력한다. rpm -ql..
1) 네트워크 설정하기 /etc/sysconfin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 편집(vi 이용) (네트워크 대역을 확인하고, 192.168.1 대역이 아니라면 본인의 환경에 맞게 편집합니다, IPADDR과 GATEWAY는 대역이 같음) DEVICE=eth0 BOOTPROTO=static IPADDR=192.168.1.100 NETMASK=255.255.255.0 GATEWAY=192.168.1.2 ONBOOT=yes rm -rf /etc/udev/rules.d/70-persistant-net.rules 2) 보안 강화 리눅스(SELinux) 해제 /etc/selinux/config (vi 이용) #SELINUX=enforcing SELINUX=disabled init 6 3) ..
💡 rpm(RedHat Package Manager) 이란? ➡️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패키지라는 묶음의 형태로 관리하는 프로그램 설치, 업데이트, 삭제, 설치여부 확인, 구성 확인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 rpm 패키지 파일 이름 규칙 ➡️ [패키지이름]-[메이저버전]-[마이너버전].[리눅스버전].[아키텍쳐] 📌 예시로 직접 알아보기!! ➡️ telnet-server-0.17-48.el6.x86_64.rpm 패키지이름 : telnet-server 메이저버전 : 0.17 마이너버전 : 48 리눅스버전 : el6 (Enterprise Linux = RedHat Enterprise Linux) 아키텍처 : x86-64 (PC 32비트 혹은 64비트 호환가능) ➡️ telnet-0.17-48.el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