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F-404

DRM 개념 알아보기 본문

정보처리기사

DRM 개념 알아보기

UTF-404 2024. 2. 27. 16:15
728x90

💡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의 개념

➡️ DRM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리정보를 지정하고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의 허가된 권한 범위 내에서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통제하는 기술이다.

 

📍DRM의 특징

특징 설명
거래 투명성 ∙ 저작권자와 콘텐츠 유통업자 사이의 거래구조 투명성 제공
사용규칙 제공 ∙ 사용가능 횟수, 유효기간, 사용 환경 등을 정의 가능
∙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구성 및 콘텐츠 소비 형태 통제 제공
자유로운 상거래 제공 ∙ 이메일, 디지털 미디어, 네트워크 등을 통한 자유로운 상거래 제공
∙ 허가 받은 사용자는 별도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대상 콘텐츠를 복호화하고 허가된 권한으로 사용 가능

 

📍 DRM 동작 방식

DRM 구성

단계 동작방식
라이선스 등록 클리어링 하우스에 라이선스 등록을 하면서 동시에 유통시스템에 콘텐츠를 등록
라이선스 요청 콘텐츠 소비자가 유통시스템으로 라이선스 요청
라이선스 요청 유통시스템에서 클리어링 하우스를 통해서 라이선스를 요청
요금 지불 콘텐츠 소비자가 요금 지불
라이선스 발급 클리어링 하우스를 통해서 라이선스 발급
콘텐츠 다운로드 그 이후에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 DRM 구성 요소

구성요소 설명
콘텐츠 제공자
(Contents Provider)
∙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콘텐츠 소비자
(Contents Customer)
∙ 콘텐츠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주체
콘텐츠 분배자
(Contents Distributor)
∙ 암호화된 콘텐츠를 유통하는 곳이나 사람
클리어링 하우스
(Clearing House)
∙ 저작권에 대한 사용 권한, 라이선스 발급, 사용량에 따른 관리 등을 수행 하는 곳
∙ 키 관리 및 라이선스 발급 관리
콘텐츠 권한 정책, 라이선스를 관리를 수행
DRM 콘텐츠
(DRM Contents)
∙ 서비스하고자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콘텐츠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 콘텐츠 사용정보를 패키징하여 구성된 콘텐츠
패키저
(Packager)
∙ 콘텐츠를 메다 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단위를 묶는 도구
DRM 컨트롤러
(DRM Controller)
∙ 배포된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
보안 컨테이너
(Security Container)
∙ 원본 콘텐츠를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장치
  • DRM은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소비자, 클리어링 하우스로 구성된다.
  • 콘텐츠 분배자는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받아서 소비자에게 유통시킨다.
  • DRM 구성요소는 저작권 관리 구성요소라고도 한다.

📌 콘텐츠 권한 정책

  • 라이선스 발급 여부를 결정하는 정책에 대한 부합 여부 확인
  • 적절한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역할 수행

📌 콘텐츠 라이선스

  • 클리어링 하우스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콘텐츠의 권리 인증
  • 콘텐츠에 대한 사용 조건 및 허가 정보를 포함

📌 메타 데이터(Meta Data)

➡️ 자료 그 자체가 아닌 자료의 속성 등을 설명하는 데이터이다.

 

📍 DRM의 기술요소

기술요소 설명
암호화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
키 관리 콘텐츠를 암호화한 키에 대한 저장 및 배포 기술(중앙 집중형, 분산형)
식별 기술 콘텐츠에 대한 식별 체계 표현 기술
저작권 표현 라이선스의 내용 표현 기술
암호화 파일 생성 콘텐츠를 암호화된 콘텐츠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
정책 관리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에 대한 정책표현 및 관리 기술
크랙 방지 크랙에 의한 콘텐츠 사용 방지 기술
인증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