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네트워크 충돌
- sort
- ROS2
- 자격증
- 리눅스
- 알고리즘
- 정렬
- CentOS
- 기구학
- homogenous
- 정보처리기사
- sam2
- segmentation
- Java
- 합병
- 맥케이브
- Computer
- Coding
- 회전 복잡도
- AI
- MIPS
- 정처기
- 명령어
- 3dof
- SQL
- Linux
- homogeinous
- humble
- 컴퓨터구조
- robotics
Archives
- Today
- Total
UTF-404
UI 요구사항 확인(2) 본문
728x90
💡 UI 표준
- UI 표준은 디자인 철학과 원칙 기반하에 전체 시스템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화면 간 이동, 화면구성 등에 관한 규약이다.
💡 UI 표준 구성
UI 표준 구성 설명
전체적인 UX 원칙 |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UX 원칙 정의 |
정책 및 철학 | 조직의 목표나 정체성을 포함하는 정책 및 철학 설정 |
UI 스타일 가이드 | UI에 대한 구동 환경 및 레이아웃 등을 정의 |
UI 패턴 모델 정의 | CRUD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입력, 출력 패턴 모델 정의 |
UI 표준 수립을 위한 조직 구성 | UI 팀 및 표준 개발 팀을 주축으로 추진 조직 구성 |
📌CRUD 방식 :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직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이다.
💡 UI 표준 수립 시 고려사항
- 사용자가 불편해하지 않아야 한다.
- 많은 업무 케이스를 포함해야 한다.
- 다양한 사용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 표준 적용이 쉽도록 충분한 가이드와 활용 수단 제공이 필요하다.
- 변화하는 상황에 맞게 빠르게 변경할 수 있는 관리조직 수반이 필요하다.
💡 UI 화면 구성요소
- 시스템 요구사항에 대한 개념 모델을 논리적 모델(프로세스 모델, UI 설계, 논리 데이터 모델, 아키텍처 정의, 인터페이스 설계)로 상세화한다.
구성요소 | 설명 |
그리드 | UI를 구성하는 방법 중 테이블 형태로 UI를 구성 |
버튼 / 컨트롤 타입 |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잇도록 콤보 박스, 토클 버튼, 텍스트 박스, 라디오 버튼, 체크 박스 구성 |
Page 요소 | 폰트 규정, 아이콘 요소, 체크박스/라디오 버튼, 말풍선, 이미지 표시, 탭 표시, 스텝 표시, 페이지 이동, 상하 스크롤, 정보 입력 등으로 구성 |
팝업 요소 | 윈도 팝업, 레이어 팝업 |
Alert 요소 | 정보 누락 / 정보 오류 Alert, 업무 처리 완료 Alert, 삭제 / 수정 Alert, 업무 안내성 Alert |
💡 UI 제스처
- UI 제스처는 탭, 더블 탭, 프레스, 플릭, 스와이프, 팬 , 드레그, 핀치, 로테이트 등이 있다.
💡 UI 패턴 모델(Pattern Model)
- CRU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는 화면 흐름을 포함하여 오퍼레이션 방식에 대한 표준 절차를 표시하고, UI 패턴 모델을 개발한다.
- 표준 프레임 워크로 개발하고, 유스케이스를 이용해서 패턴별 표준 개발 방법 총 7가지 영역을 정의한다.
영역 | 설명 |
업무 화면 클라이언트 정의 | - 제안 단계에서 결정된 클라이언트를 통해 설계자는 개발 시에 필요한 공통 요소 식별, 디렉토리 구성, 개발 환경 구축 부분 도출 - 클라이언트에 출력되는 UI는 X-Internet으로 대변되는 리치 클라이언트와 일반 JSP, HTML 기반의 씬 클라이언트가 존재 |
서버 컨트롤러(Controller) 정의 | - 프레임워크를 도입한다면 해당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방식 채택 - 별도의 클라이언트 제품을 도입하는 경우 서버 컨트롤러와의 연동 방식 결정 |
서버 메시지 및 예외처리 정의 | - S(System) : 시스템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메시지. 런타임 예외를 전달할 때 사용되며, 모든 트랜잭션은 자동으로 복원 (Rollback) - E(Error) : 업무 처리 로직의 일환으로 애플리케이션 예외를 전달할 때 사용. 모든 트랜잭션은 자동으로 복원 (Rollback) -I(Information) : 정상적인 업무 처리 결과나 관련 정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사요자에게 알려주고자 할 때 사용. 이때 모든 트랜잭션은 커밋(Commit)됨 |
클라이언트-서버 간 데이터 변환 정의 | -어떤 방식의 오브젝트(Object)를 사용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형태 변환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방안 마련 |
기업 포털(Enterprise Portal) 연계 정의 | - '기업 포털 - SSO - 사용자' 간 연계 방안을 URL 연계 시를 고려하여 정의 |
보고서 정의 | - 클라이언트와 리포트(Report) 솔루션 간의 연게 방식을 결정 |
외부 컴포넌트 연계 정의 | - 외부 UI 컴포넌트를 도입할 때 서버와의 연계 방식을 결정 |
📌 리치 클라이언트 ( Rich Client) : SW의 실행을 클라이언트에서 책임지는 기술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SW의 실행 코드를 스트림 형태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되는 SW 코드를 클라이언트 PC의 자원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기술
📌 씬 클라이언트 (Thin Client) :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전적으로 서버에서 책임지는 기술로 서버에서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관리 및 실행하는 기술이다.
📌 SSO(Single Sign On) : 한번의 로그인을 통해 여러 다른 사이트들을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법이다.
728x90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 설계!! (0) | 2024.01.23 |
---|---|
UI 요구사항 확인(3) (0) | 2024.01.18 |
UI 요구사항 확인(1) (2) | 2024.01.09 |
현행 시스템 분석(2) (0) | 2024.01.06 |
현행 시스템 분석(1) (0)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