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리눅스
- segmentation
- sort
- MIPS
- homogeinous
- 소스 코드 품질 분석
- 알고리즘
- homogenous
- 명령어
- 3dof
- sam2
- 맥케이브
- Java
- Coding
- robotics
- 정보처리기사
- 컴퓨터구조
- 네트워크 충돌
- 정처기
- Computer
- 회전 복잡도
- ROS2
- CentOS
- 정렬
- 해싱 함수
- 합병
- SQL
- 기구학
- Linux
- AI
Archives
- Today
- Total
UTF-404
내/외부 인터페이스 기술 표준 본문
728x90
💡 내/외부 인터페이스 기술 표준 확인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해 외부 및 내부 모듈을 연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EAI 방식과 ESB 방식이 있다.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rgration) 방식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 EAI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줄 수 있다.
🔎 Point-to-Point
-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간에 점 대 점 형태로 연결
🔎 Hub & Spoke
-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 허브 장애 시 전체 장애 발생
🔎 Message Bus
-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버스)를 두어 연계하는 미들웨어 통합 방식
- 뛰어난 확장성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
🔎 Hybrid
- 그룹 내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사용하고, 그룹 간에는 메시지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통합 방식
📍 ESB(Enterprise Service Bus) 방식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 또는 기술이다.
- ESB는 버스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이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을 낮은 결합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728x90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차형 SQL (0) | 2024.03.20 |
---|---|
소프트웨어 연계 테스트 (0) | 2024.03.20 |
소스 코드 품질 분석!! (0) | 2024.03.19 |
정렬 알고리즘 알아보기 (0) | 2024.03.07 |
해싱함수와 검색 알고리즘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