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humble
- 알고리즘
- AI
- sort
- ROS2
- 소스 코드 품질 분석
- 합병
- MIPS
- 컴퓨터구조
- 정처기
- homogeinous
- CentOS
- Coding
- 3dof
- homogenous
- 리눅스
- 명령어
- 네트워크 충돌
- robotics
- sam2
- Linux
- Java
- 회전 복잡도
- 정보처리기사
- SQL
- segmentation
- 기구학
- Computer
- 맥케이브
- 정렬
Archives
- Today
- Total
UTF-404
리눅스 권한 심화(1)!! 🧑🏻💻 본문
728x90
이전 게시물에서 리눅스 권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권한에 대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 한다!!
💡 파일에서 r, w, x 권한에 대해 알아보자!!
📌 파일에서 r 권한
→ cat, more, vim, cp 등과 같은 파일의 내용을 읽어 들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 파일에서 w 권한
→ cat, echo, vim 등과 같은 파일의 내용을 수정, 변경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vim 같은 경우는 :wq!로 저장이 가능하긴 하다. (단, 소유자만 적용된다!)
📌 파일에서 x 권한
→ 실행 파일 같은 경우 실행 여부와 관련이 있다.
💥 문서에는 x 권한이 없다! But!! .sh 를 주석처리한 경우 실행파일로 인식한다.
💡 디렉토리에서 r, w, x 권한에 대해 알아보기!!
📌 디렉토리에서 r 권한
→ ls, dir 등과 같은 디렉토리의 내부 내용을 읽어 들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 디렉토리에서 w 권한
→ mkdir, touch, rm, mv 등과 같은 디렉토리 내부에 생성, 수정, 삭제와 관련이 있다.
📌 디렉토리에서 x 권한
→ 디렉토리 접근과 관련이 있다.
💥 디렉토리에 x가 없다는 것은 명령어를 이용할 수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read | write | access / execute | |
directory | ls | mkdir / touch / rm | cd |
file | cat | cat > | ./file.sh |
📍 알아가기!!
- 디렉토리나 파일을 생성하면 생성한 계정이 소유주로 등록된다.
- 디렉토리는 사실상 x 권한이 있어야 정상 작동되므로, 디렉토리의 기본 퍼미션은 755 이다.
- 파일은 모든 파일이 실행 파일이 아니므로, 파일의 기본 퍼미션은 644 이다.
📍 Full Permission → 모든 권한을 허용
- Dir : 777
- File : 666
💥 UMASK → 파일 및 디렉토리 생성 시 Full Permission에서 빼줄 값 (기본 권한을 설정하는 도구)
📎 디렉토리의 경우 풀 퍼미션이 777인데 umask가 022라면?
👉🏻 777
-022
———
755 ← 디렉토리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부여되는 퍼미션
📎 파일의 경우 풀 퍼미션이 666인데 umask가 022라면?
👉🏻 666
-022
———
644 <- 파일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부여되는 퍼미션
📍 useradd로 계정을 생성하면 홈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데, 풀 퍼미션은 777이고, login.defs에서 UMASK를 지정 (077)
👉🏻 777
-077
———
700 <- 계정 홈 디렉토리의 기본 퍼미션
728x90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권한 심화(2)!! 🧑🏻💻 (0) | 2024.02.03 |
---|---|
su 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01.27 |
리눅스 권한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01.22 |
리눅스 계정(2) (0) | 2024.01.21 |
리눅스 계정(1) !! (1)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