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자격증
- Coding
- robotics
- Linux
- 네트워크 충돌
- segmentation
- 리눅스
- 정렬
- 정보처리기사
- homogenous
- Computer
- Java
- 정처기
- 알고리즘
- MIPS
- CentOS
- 명령어
- 기구학
- 맥케이브
- 회전 복잡도
- sort
- 컴퓨터구조
- AI
- humble
- sam2
- ROS2
- 합병
- 3dof
- SQL
- homogeinous
Archives
- Today
- Total
UTF-404
논리 데이터저장소 설계 (1) 본문
728x90
💡 논리 데이터 모델링
-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DB에 저장될 정보를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들 간의 연관 관계를 모형화 하는 과정이다.
💡 데이터 모델링 절차
- 요구분석
-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용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정형적인 요구 조건 명세를 만든다.
- 개념적 모델링
-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기 쉬운 형식으로 간단히 기술하는 단계
-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병행적으로 수행
- 개념 스키마 모델링 → 데이터의 조직과 표현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 중심 설계
- 트랜잭션 모델링(처리/흐름 중심 설계) → 응용을 위한 데이터 처리에 주안점을 둔 처리 중심 설계
- 논리적 모델링
- 개념적 설계에서 만든 구조를 구현 가능한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단계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은 목표하는 DBMS가 구현되어 있는 환경과 특성까지는 고려하지 않고, 해당 DBMS가 지원하는 데이터 모델에 적합하게 변환한다. 즉, DBMS에 종속적이라 할 수 있다.
- 논리적 설계 단계는 앞 단계의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든 정보 구조로부터 목표 DBMS가 처리할 수 있는 스키마를 생성한다. 이 스키마는 요구 조건 명세를 만족해야 하고, 무결성과 일관성 제약 조건도 만족해야 한다.
- 물리적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내부 저장 장치 구조와 접근 경로 등으로 설계한다.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는 저장 레코드이다.
- 파일이 동일한 타입의 저장 레코드 집합이라면,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가지 타입의 저장 레코드 집합이라는 면에서 단순한 파일과 다르다.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될 여러 파일 타입에 대한 저장 레코드의 양식, 순서, 접근 경로, 저장 공간의 할당 등을 기술한다.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이란?
→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 베이스 안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 논리 데이터저장소
- 논리 데이터 모델링과 관련하여 데이터 구조로 만들어진 데이터저장소이다.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성 : 개체 / 속성 / 관계
구성 | 내용 |
---|---|
개체 (Entity) | 표현하려는 유,무형 정보의 대상으로 존재하면서 서로 구별이 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다. |
속성 (Attribute) | ∙ 개체의 특성이나 상태를 기술하는 것이다. |
∙ 단독으로 존재하기는 어렵다. | |
관계 (Relationship) | ∙ 개체 간 또는 속성 간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1:1, 1:n, n:m) |
∙ 개체 집합의 구성 원소인 인스턴스 사이의 대응성(Correspondence), 즉 사상(Mapping)을 의미한다. | |
∙ 사상의 원소수 (Mapping Cardinality) → 현실에서 다양한 관계를 분류하는 기준 |
💡 논리적 저장 구조의 종류 (오라클)
Tablespace | 논리적으로 서로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들을 묶어 놓은 단위로, 물리적인 파일과 논리적인 저장 단위를 서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
Segment | 테이블스페이스 내에 특정 유형의 논리적 저장 구조로 할당된 영역으로, 테이블, 인덱스 등의 오브젝트가 세크먼트에 포함된다. |
Extent | 하나 이상의 연속된 데이터 블록의 모임이자 세그먼트에 대한 공간 할당 단위이다. |
Block | 오라클의 기본 입/출력 단위이다. |
728x90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 요구사항 확인(2) (1) | 2024.01.16 |
---|---|
UI 요구사항 확인(1) (2) | 2024.01.09 |
현행 시스템 분석(2) (0) | 2024.01.06 |
현행 시스템 분석(1) (0) | 2024.01.06 |
논리 데이터저장소 설계(2) (1)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