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omogenous
- 정보처리기사
- 소스 코드 품질 분석
- Java
- robotics
- MIPS
- 정렬
- Linux
- segmentation
- humble
- sam2
- AI
- 기구학
- homogeinous
- 맥케이브
- 합병
- Coding
- Computer
- 회전 복잡도
- 네트워크 충돌
- 컴퓨터구조
- 알고리즘
- sort
- SQL
- 정처기
- 명령어
- 리눅스
- ROS2
- 3dof
- CentOS
- Today
- Total
목록정보처리기사 (35)
UTF-404
💡 테스트 시각에 따른 분류 분류 설명 검증(Verification)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테스트 ∙ 올바른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지 검증 ∙ 이전 단계에서 설정된 개발 규격과 요구를 충족시키는지 판단 ∙ 개발자 혹은 시험자의 시각으로 소프트웨어가 명세화된 기능을 올바로 수행하는지 알아보는 과정 확인(Validation) ∙ 소프트웨어 결과를 테스트 ∙ 만들어진 제품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 ∙ 최종 사용자 요구 또는 소프트웨어 요구에 적합한지 판단 ∙ 사용자 시각으로 올바른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는지 입증하는 과정 💡 테스트 목적에 따른 분류 분류 설명 회복 테스트 (Recovery Test) 시스템에 고의로 실패를 유도하고, 시스템의 정상적 복귀 여부를 테스트하는 기법 안전 테스트 (Security..
💡 소프트웨어 테스트 종류 ➡️ 소프트웨어 테스트 종류는 프로그램 실행 여부, 테스트 상세 기법, 테스트에 대한 시각, 테스트의 목적, 테스트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분류 경험기반 테스트도 블랙박스 테스트에 포함되기도 한다.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라 정적 테스트와 동적 테스트로 나눌 수 있다. 분류 설명 유형 정적 테스트 테스트 대상을 실행하지 않고 구조를 분석하여 논리성을 검증하는 테스트 리뷰(동료 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 정적분석 동적 테스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테스트 화이트박스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 경험기반 테스트 💡 테스트 기법에 따른 분류 📍 블랙박스 테스트(Black-box Test) 블랙박스 테스..
💡 국제 표준 제품 품질 특성 개념 국제 표준 제품 품질 특성은 제품에 대하여 명확하게 정의된 특성을 의미하며,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 항목이다. 품질에 관련된 국제 표준화는 ISO/IEC, ITU-T, IEEE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제품 품질 표준과 프로세스 품질 표준으로 나눌 수 있다.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여러 나라의 표준 제정 단체들의 대표들로 이루어진 국제 표준화 기구이다. 나라마다 다른 산업, 통상 표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한다. 📌 ISE(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ttee) ➡️ 국제전자기술위원회의 약자로 전기, 전자 및 관련 기술을 위..

💡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의 개념 ➡️ DRM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리정보를 지정하고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의 허가된 권한 범위 내에서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통제하는 기술이다. 📍DRM의 특징 특징 설명 거래 투명성 ∙ 저작권자와 콘텐츠 유통업자 사이의 거래구조 투명성 제공 사용규칙 제공 ∙ 사용가능 횟수, 유효기간, 사용 환경 등을 정의 가능 ∙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구성 및 콘텐츠 소비 형태 통제 제공 자유로운 상거래 제공 ∙ 이메일, 디지털 미디어, 네트워크 등을 통한 자유로운 상거래 제공 ∙ 허가 받은 사용자는 별도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대상 콘텐츠를 복호화하고 허가된 권한으로 사용 가능 📍 DRM 동작 방식 단계 동작방식 라이선스 등록 클리어링..
💡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도구의 개념 IDE 도구는 코딩, 디버그, 컴파일, 배포 등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기존에는 컴파일러(Compiler), 텍스트 편집기(Editor), 디버거(Debugger)를 따로 사용했으나 통합 개발환경을 통해 하나로 묶은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DE 도구의 기능 ➡️ IDE 도구는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형태로서, 편리한 개발환경을 제공한다. 기능 설명 개발환경 지원 자바(Java), 파이썬(Python) 등 개발언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환경 제공 컴파일 문법에 어긋나는지 확인하고 기계어로 변환하는 기능 제공 디버깅 프로그래밍 과정에 ..

💡 그래프(Graph)의 개념 그래프는 노드(N; Node)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 Edge)을 하나로 모아 놓은 자료 구조이다. 트리(Tree)는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이다. 📍 그래프의 유형 ➡️ 방향성의 유무에 따라 방향 그래프와 무방향 그래프로 구분된다. 📌 방향 그래프 정점을 연결하는 선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 n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는 n(n-1) 📌 무방향 그래프 정점을 연결하는 선에 방향이 없는 그래프 n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무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는 n(n-1)/2 📍 그래프 용어 용어 설명 경로(Path) 임의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이르는 길 경로 길이(Path Length) 경로상 있는 간선의 수 단순 경로(Simple Path) 한 경로의 모든 간..

💡 트리(Tree)의 개념 트리는 데이터들을 계층화시킨 자료 구조이다. 그래프의 특수한 형태로 노드(Node)와 선분(Branch)으로 되어 있고, 정점 사이에 사이클(Cycle)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자료 사이의 관계성이 계층 형식으로 나타나는 비선형 구조이다. 인덱스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조이다. 트리는 노드(Node)와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Link)로 구성된다. 배열과 달리 노드들이 포인터로 연결되어 노드의 상한선이 없다. 📍 트리(Tree) 용어 용어 설명 루트 노드(Root Node) ∙ 트리에서 부모가 없는 최상위 노드, 트리의 시작점 ∙ {A} 단말 노드(Leaf Node) ∙ 자식이 없는 노드, 트리의 가장 말단에 위치 ∙ {F, G, H, E, C} 레벨(Leve..

💡 선형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선형 구조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리스트, 스택, 큐, 데크가 있다. 📍리스트(List) 종류 설명 선형 리스트 (Linear List) • 배열과 같이 연속되는 기억 장소에 저장되는 리스트 • 선형 리스트의 대표적인 구조로는 배열 (Array) 등이 있음 • 가장 간편한 자료 구조이며, 접근 구조가 빠름 • 자료의 삽입, 삭제 시 기존 자료의 이동이 필요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 노드의 포인터 부분으로 서로 연결시킨 리스트 •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단술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이중원형 연결 리스트로 구분 • 노드의 삽입, 삭제가 선형 리스트와 달리 편리 • 연결을 위한 포인터가 추가되어..

💡 자료 구조란 ?? 자료 구조는 컴퓨터상 자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논리적인 구조이다. 자료 구조의 현명한 선택을 통해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 자료 구조의 분류 ➡️ 자료 구조의 분류는 크게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로 나뉜다. 구조 설명 종류 선형 구조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자료 구조 리스트, 스택, 큐, 데크 비선형 구조 데이터를 비연속적으로 연결한 자료 구조 트리, 크래프
💡 데이터 명세화란? ➡️ 데이터 명세화는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과정에서 식별한 연계 정보 그룹에 해당하는 테이블 정의서, 파일 레이아웃, 코드 정의서 등을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 명세를 만드는 작업이다. 📍 데이터 명세화 문서 문서 설명 개체(Entity) 정의서 ∙ 데이터 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 테이블(Table)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Index), 업무 규칙을 정의한 문서 코드(Code) 정의서 ∙ 코드에 대한 명명 규칙을 정하고, 명명 규칙에 따라 어떠한 코드를 사용할지를 정의한 문서 ∙ 코드는 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일하게 ..